진주학
-
2021년 한 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카테고리 없음 2021. 11. 24. 03:33
올 한 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1. 연구 2. 건강 3. 사람 4. 관계 5. 봉사 및 정리 아름다운 마무리였는가를 생각해 보면 45-51을 지키고자 하는 나의 의지가 조금은 왜곡된 듯하다. 1. 연구 영역에서는 1-1, 의령정신을 말할 수 있었다는 것, 역사인물 이성자화백의 활용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은 나름대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등재지 논문 투고 한 편 싣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다시금 확인한 시간이기도 하다. 연구자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서 논문으로 말하기 위해 연구를 집중했어야 하는데 후반부는 그렇지 못했다. 아쉬운 부분이다. 1-2. 진주학 용역의 틀을 세우고 자료 조사를 하고 마무리를 한 것은 의미있었으나 그 다음으로 확장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서 아쉬움이 많다. 내게 독자적으..
-
진주학이 제대로 자리잡으려면....카테고리 없음 2021. 8. 14. 09:16
지방자치제 시행과 상관없이 지역학은 지역정체성을 밝히고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잡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 나의 입장이다. 진주학이 지역에서 하나의 학문적 지위를 확보하려면 그것에 대한 정의와 범주, 그것이 추구하는 정신문화에 대한 가치 설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진주학에서 다루고자 하는 진주학은 진주 지역이 안고 있는 근원문제와 진주지역의 사상과 문화라고 이해할 수 있다. 진주사람과 진주사람의 근원적인 문제 및 진주사람들의 사상과 문화이기 때문에 진주학은 진주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어야 하고 진주를 상징하는 진주어, 진주를 중심으로 다루어진 문학, 진주의 역사학, 진주의 철학, 진주의 종교학 등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 영역을 아우르게 된다. 진주에서 표현되는 모든 것들이라는 점에서 볼때 진주사람들이 논의하는 ..
-
진주학 연구 현황과 진주정신경남학/진주학 2021. 3. 25. 00:23
진주학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진주문화연구소, 경남일보, 진주문화원 등이 주축이 되어 진행되어 왔다. 본인은 2006년부터 경남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학문적인 접근을 해 왔다. 그 이전에는 초,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지역사 이해라는 측면에서 접근했기 때문에 주로 수능이나 역사 공부를 위한 접근이었다. 본격적으로 경남의 문화사를 학문적으로 접근한 것은 2006년 경상국립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여 국문학 전공자이기 때문에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학교가 필수로 수강하도록 한 선수과목인 동양철학사, 한국철학사를 접하면서였다. 가장 먼저 접한 것은 조선시대 사화의 중심에 있었던 영남 특히 밀양과 함양, 하동, 산청, 진주 지역의 유학적 전통과 관련한 것이었다. 진주학과 관련된 연구는 경남 18개 지역의 특성을 연구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