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예술제 70년사 꽃을 피우다/기타
-
개천예술제 분류 방법의 제문제: 출처: 한국현대축제의 효시 개천예술제-재맥락화로 축제이론을 세우다. 지식과 감성사(저자: 안영숙)개천예술제 70년사 꽃을 피우다/기타 2021. 10. 3. 22:51
본 글의 표를 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표절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표 9] 개천예술제 분류표 회차(연도) 40년사 분류(1991) 60년사 분류(2001) 필자의 분류(2020) 1(1949) 초창기: 1회-11회 (1949-1960) 초창기: 1회-11회 (1949-1960) 도입기: 1회-8회 (1949-1957) 영남예술제 명명기 2(1951) 3(1952) 4(1953) 5(1954) 6(1955) 7(1956) 8(1957) 9(1958) 성장기: 9회-22회 (1958-1971) 10(1959) 11(1960) 12(1961) 시련기: 12회-20회 (1961-1969) 시련기: 12회-20회 (1961-1969) 13(1962) 14(1963)..
-
근현대이행기에 설창수, 그리고 윤이상이 개척정신을 담은 교가를 지은 뜻을 생각하다.개천예술제 70년사 꽃을 피우다/기타 2021. 10. 3. 07:47
경남의 문화사를 연구하면서 18개 시군을 다년간 다녔다. 그 과정에서 해당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에 관심을 가졌었다. 문화예술가들의 흔적이 그곳에 가장 많이 남아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2015년 경주세계문화엑스포에 경남정신을 소개하기 위해 학교 도서관을 나서기 전 홈페이지에서 교가를 한번 보았었다. 설창수와 윤이상이 작사작곡한 이 멋진 노래를 그다지 들어 본 적이 없었기에 무엇을 강조했는지 보고 싶기도 하고 개척정신과 개천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장백, 방호산, 낙동강, 남가람....태고의 성 오양육주 쌍무지개, 의젓한 청운의 전당 누리 종!!!낙락의 탑.... 그랬다. 경상국립대학교 교가에는 설창수가 만들고자 했던 세상과 윤이상이 만들고자 했던 세상이 담겨 있었다. "장백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