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기록: 2019년 8월 18일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3196366327
하동정신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하동출신 유림 독립운동가들의 생가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궁금하여 몇 년 전 금남면 정규영선생과 그의 아들 정재완 선생이
살았던 생가를 찾은 적이 있습니다.
금남도 악양 못지 않은 스토리가 많이 있지만 방치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정규영선생부자가 살았던 대치마을도 평사리 너른 들을 보듯 평야처럼 펼쳐진 바다를
볼 수 있습니다.
힐링의 도시 하동이 지리산과 섬진강뿐만 아니라 남해바다 경관과 역사문화자원을 잘 보전하는 도시라는 인식을 함께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최참판댁에서 바라보는 악양들도 좋지만
선생의 생가에서 바라보는 남해바다도 묘하게 악양뜰과 유사한 감동을 줍니다.
소설 속 허구인물이 아닌 실존인물 만석꾼 정규영선생
일화들은 하동의 정신적 지주로 여겨도 될만큼 본받을만한 정신적 가치가 있습니다.
독립운동가이기도 하고 노블리스오블리주를 실천하신 분입니다.
육영사업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자 했던 정규영,정재완선생입니다.
하동군민 모두 그들의 생가를 관심있게 살펴 봐 주시면 참 좋겠습니다.
비록 안채가 소실되기는 했지만 최참판댁 못지 않은 가치가 있는 부속건물들이 남아있으니 잘가꾸고 보존하면 금남면도 꼭 찾아보고 싶은 하동의 명소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현재는 안내판도 생각보다 부실하고 관리도 어려워 보였습니다.
봉화곡 묘소와 함께 역사교육현장으로 활용되면 참으로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산청유림독립기념관은 새로운 건물을 지어 면우곽종석을 중심으로 다른 유림을 기리고 있습니다.
정규영,정재완 생가는 당시의 흔적을 직간접적으로 확인하고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하동유림독립기념관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한재정규영,물헌정재완!!!!
하동군민들께서 지켜 주시리라는 작은 희망을 안고
제가 직집 찍은 생가와 그 주변 일대 사진 일부를 올려봅니다.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3196366327
댓글 달기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