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문도시 사천 기획 과정과 탄생 시리즈 3탄:거북선 사천바다에서 최초로 뜨다인문도시사천/인문도시 사천 프로그램 이야기 2016. 3. 26. 09:17
사천에서 거북선을 최초로 띄웠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사실 그렇게 많지 않았다.
사천이어서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 내어 이 지역민에게
자부심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이 지역의 역사적 사실에 관심많은 내게
주어진 기회는 그것을 놓치고 싶지 않다는 것!!!!
더군다나 프로그램을 기획할 당시에
나는
해군사관학교 제장명 선생님으로부터
이순신과 임진왜란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듣고 도움도 받고 있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사천에서 임진왜란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고민하고 있던 시기였다.
그런데다가
2013년 경상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학술대회를
통영에서 개최하고
답사코스로 세병관을 비롯한
충렬사 등 이순신 장군의 정신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이 지역 사람들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계기도 있었다.
특히 이러한 것을 한마디로 정리해 준
한산대첩제 사무국장 최원석 선생님의 명쾌한 설명은
인문도시 사천 프로그램 구성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최원석 선생님이라면 아마도
임진왜란의 역사와 거북선에 담긴 애환...
사천과 이순신리더십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해 주실 것 같아서
기획 단계에서부터 선생님을 염두에 두고 제목을 정했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인문도시 사천을 만들기 위해 초안을 작성하시고
우리의 전통문화 계승을 위해 다양한 고민을 해 오셨던
교수님의 기획의도는 열정만 가득 찬 내게
무엇이 우선이어야 하는지 끊임없이 가르쳐 주는
나침반이 되었다.
이순신 축제가 서울, 여수, 아산, 남해, 통영, 거제 등
여러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다는 점은
사천 역시 임진왜란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곳이기에
이 대열에 합류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인문도시 사천'에서 '사천만이 지닌 이순신의 가치는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했고 이 지역 청소년들이 자부심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은 이순신이어야 하고.....
최초이거나 유일한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을 했다.
그렇게 하여 탄생한 프로그램 이름은
"거북선 사천바다에서 최초로 뜨다"
이 제목 하나를 생각하기 위해 나는 많은 것을 잃었고
많은 것을 버려야 했다.
그것을 계기로 내게 남겨진 것은
다른 지역에는 없는 것이 사천에 있어야 한다는 것
.....
인문도시 사천 프로그램은
사천의 문학과 역사, 철학, 문화콘텐츠가
한 셋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 수혜 대상은 사천을 이끌고 있는 시민,
사천의 심장 청소년,
사천내 기업근무자이다.
다음 회차에는
퇴계 이황의 제자이면서도 남명조식 선생의 학문을 따르기도 했던
구암(귀암) 이정선생의 사상을 연구하셨던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이상필 선생님의 거북이 타고 구암을 만나다!-'신명사와 천군이야기' 주 내용은 구암이정과 신명사부'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기로 한 에필&프롤로그
참고로 구암,,,이상필 교수님은 구암이 아니라 귀암이라고 해야 한다고 하셨다. 교수님과 미리 약속을 정하고 남명학관에 있는 연구실을 찾아갔다. 한 시간 가까이 많은 이야기를 해 주셔서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었는지 모른다. 초기 기획 단계에서 비토섬과 거북이를 엮어서 이야기 해 달라고 했다가 교수님께 보기 좋게 퇴짜를 맞았다. 그래서 기획과정에서 교수님 연구논문 읽었던 기억을 떠올려 신명사부와 관련된 이야기여도 된다고 말씀 드리고 아예 기획에서부터 이상필교수님 맞춤형 제목을 달았고
비토섬과 거북은 다른 전문가를 찾아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상필 교수님께 들은 귀암 이정은 내게 앞으로 사천지역 인문사상 연구 과제를 던진 셈이다.
인문정신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하는 나로서는 참으로 좋은 경험이었다.-다음 회에~~
?
'인문도시사천 > 인문도시 사천 프로그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도시사천의 꽃을 꿈 꾼 인문도시로 비행하라 사천 인문서포터즈의 탄생 (0) 2016.05.04 '인문도시 사천' 그 안에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상하며 (0) 2016.05.04 -인문도시 사천 기획 과정과 탄생 시리즈 2탄-과거로의 귀환, 고대 사천"이 나오기 까지-고인돌...그리고 패총 (0) 2016.03.25 인문도시 사천 문학을 통해 인간의 길을 묻다;등신불’에서 인간의 길을 묻다' (0) 2016.03.24 -인문도시 사천 기획 과정과 탄생 시리즈 1탄 도예와 벽화 사이에서 사천의 문화를 꿈꾸다 (0) 2016.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