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년 1월 29일 오후 1시 경 .-진주정신-에 대하여임진왜란과 선비정신/임진왜란 기점 문화사 2012. 1. 29. 18:17
의병과 관군의 차이에서
...
경남의 문화사를 이해하게 되었다.
특히 민속문화와 관속문화가
대등한 입장에서 발전한 지역의
문화를 조사하면서 알게 된 것이 많다.월아산 목책성을 수차례 오르며
산 곳곳에 흩어져 방치된 돌들이 이리저리 치이고
돌탑으로 변하는 모습에서 진주정신을 보았고
전라도 광주 장수 김덕령이 그토록 지켜내려했던
진주 땅 월아산 장군봉에서
진주정신을 느꼈다.논문을 쓰기 위해서
가끔 올랐던 월아산...그리고 금산지역 답사...
진주성이 진주정신 상징이라면
월아산 목책성은
진주 선비정신을 상징할 것이다.
진주사람이라면 이제
이 지역 사람들이 지켜주고자 했던
김덕령 장군을 기억하고
진주사람 하륜과 하연,어득강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전국 인재의 반은 영남이요,
영남 인재의 반은 진주 출신이라는 말이 있다.
진주에도 서원이 제법있다.
대각서원,임천서원,운강서원,신당서원,도동서원,광제서원,청계서원,용강서당,남악서원,옥산서원,유허비만 있는 정강서원 등이 그 대표적인 서원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서원들이 월아산을 중심으로 산 인근지역에 대부분 분포한다는 점이다. 만약 기회가 주어진다면월아산을 중심으로 한 선비문화와 그 정신을 연구해 보고 싶다.
철학을 전공하는 내가 자꾸 진주정신에 마음이 가는 이유는 윤리학이 주는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레비나스의 윤리학을 접하지 않았더라면
나는 정신에 대해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고
그것이 사람이라면 당연히 행해야 할 가치임을 생각못했을 것이다.
그것은 의무이기 이전에 책무이기 때문이다.
'임진왜란과 선비정신 > 임진왜란 기점 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어 보아야 할 책들...그리고 읽은 책들 (0) 2015.04.13